목록동네방네 탐방기 (4)
동네방네

♧ 답사지 : 경주 향교 및 월정교, 접시꽃 군락지...... ♧ 일시 : 2021년 6월 19일 경주향교는 향교를 떠나서 곁 하고 있는 계림숲과 대릉원, 반월성 등 주변 경관이 너무 좋아 자주 찾는 곳이다. 전자에 이곳을 찾았을 때는 월정교 공사가 한참 진행 중이어서... 그 모습을 제대로 볼 수 없었는데.... 오늘 완성된 모습을 보니... 천년고도의 위용을 보여 주는 것 같았다. 향교에 들어가기전에 월정교부터 둘러보았다. "월정교"라는 이름은 김부식의 저서 ‘삼국사기’에서 통일신라 경덕왕 19년 “ 궁궐 남쪽 문천에 월정교, 춘양교 두 다리를 놓았다”는 기록을 통해 알려졌다. 지난 2008년부터 본격적으로 복원사업을 시작해 2013년에 교량 복원이 먼저 완성됐고, 교각 양쪽의 문루를 마저 지어 지난..

서산 보원사지(瑞山 普願寺址)는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에 있는 신라시대의 절터이다. 1987년 7월 18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316호로 지정되었다. 대한민국의 보물로 지정된 석조, 당간지주, 오층석탑, 법인국사탑, 법인국사탑비 등이 남아 있다. 사역 내에서 금동여래입상이 출토된 바 있어 창건 시기를 백제 시대까지 올려볼 가능성이 유적이다. 2006년부터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 자료 출처 : 위키백과 서산 보현사지편 다른 일정이 있어 가까이 다가가지는 못하고 먼발취에서 망원랜즈로 Close-Up하여 담은 전경이다. 우천중이어서 방문객이 거의 없었다. 잠은 새벽부터 깨어 있어도, 관람시간이 정해져 있어서 (9:00 ~ 18:00)....... 9시까지 기다렸다가 시간이 ..

2021년 4월 17일(토) 오후, 조문국 사적지(경북 의성군 금성면 대리리 378-1)를 탐방하였다. 여기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은 5~6세기 것으로 추정된다고 하는데. 삼국사기(김부식)의 기록에 의하면 삼한시대에 부족국가인 조문국은 신라 벌휴왕 2년(185)에 신라에 편입되었다고 한다. 이곳 고분군의 역사적 의의는 경북 의성 지역 지방 세력과 사회구조 및 신라와의 관계 파악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고 한다.(출처 : 의성 군청 문화재 안내 자료) 상기 전경은 대구쪽에서 경북 의성군 금성면으로 가는 도중, 군위군 의흥면 위천옆 벗꽃나무 군락지 전경으로 벗꽃은 이미 다졌지만 마지막 남은 꼬투리의 붉은 노울을 불태우고 있었습니다. 봄철 많은 곳을 갈 수 있었으나... 그래도 우리 문화 유적지를 탐방하고 ..